
한식(寒食)은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로 우리나라 4대 명절 중 하나입니다. 비록 현대에 와서 사라져 가는 명절 중 하나지만 집안에 따라 한식날 성묘를 하고 제사를 지내는 집도 있지요. 오늘은 2023년 한식날 날짜와 유래, 관련 속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한식날 날짜는? 2023년 4월 6일 *2024년: 4월 5일 / 2025년: 4월 5일 한식은 청명 전날 혹은 전전날에 옵니다. 올해 청명은 4월 5일로 한식 전날이네요^^ ▣한식 뜻은? 한자로 찰한(寒), 밥식(食) 자를 쓰며 의미는 '차게 먹는 날' '불을 피우지 않는 날'입니다. 금연절(禁煙節), 냉절(冷節)이라고도 해요. ▣한식 유래 한식은 원래 중국 춘추 전국 시기의 충신인 '개자추'를 기리기 위한 날이었습니다. 진나라 충..

음력 7월 7일 칠석(七夕) 날의 유래, 음식, 풍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옛 시절엔 어머니들이 장독대에 정화수를 놓고 북두칠성을 향해 가족들의 무병장수를 빌곤 했었지요. 1년에 단 한번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칠월칠석'은 음력 7월 7일로 음력을 기준으로 합니다. 양력으로는 대부분 8월에 옵니다. 광복절과 입추, 말복과 겹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칠성 날, 꼼 비기 날 등 지역마다 여러 이름으로 불립니다. 칠석날은 농사일이 비교적 한가한 시기로 살림살이를 정리하고 밀국수, 전병등을 맛보며 즐기는 명절이었습니다. 칠월칠석 유래 고대 중국 설화가 주나라에서 한대에 걸쳐 우리나라에 유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건너오면서 약간씩 디테일한 부분은 바뀌었겠지요. ♥견우직녀 이야기 (오작교 유래) 멀고 먼..

2022년 한식날 날짜와 뜻+한식날 먹는 음식에는 뭐가 있을까? 한식은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로 설, 추석, 단오와 함께 우리나라 4대 명절 중 하나이다. 양력 4월 5일~6일쯤이며 절기 청명과 날짜가 겹치는 경우가 많다. ■2022년 한식날 날짜는? 2022년 4월 6일 (올해 청명 날짜는 4월 5일로 식목일과 겹친다.) *2023년: 4월 6일 / 2024년 4월 5일 ■한식 뜻풀이 한자의 뜻은 차가울 한(寒) 자와 밥 식(食)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찬 음식을 먹는 날'이 된다. 한식날엔 더운 음식을 피하고 차가운 음식을 그대로 먹는 풍습이 있다. 때문에 금연일, 냉절이라는 명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한식날 먹는 음식은? 1. 두견주 진달래꽃이 유독 아름다운 한식날 진달래 꽃잎을 따서 향긋하게..